티스토리 뷰

음악과 책과 사유

에라스무스의 조언

하이비 2024. 11. 19. 14:52

If God thus clothes and feeds the sparrows which are sold at two for a penny, why do you torment yourself piling up riches, licitly and illicitly, for your old age – which you may never reach – and for your children, grandchildren, and great-grandchildren, when perhaps all your wealth may end up with those you would least like?

하나님께서 이처럼 한 푼에 두 마리로 팔리는 참새들도 입히고 먹이신다면, 왜 당신은 늙어서 사용할지도 모르는 재산을 쌓기 위해, 합법적이든 불법적이든, 스스로를 괴롭히며 살아갑니까? 당신이 그 나이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고, 당신의 자녀들, 손자들, 그리고 증손자들을 위해 쌓은 재산이 결국 당신이 가장 원하지 않는 사람들의 손에 들어갈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CWE 65, 162)

 

What, in the world’s view, could be more contemptible than Paul, who calls himself peripsema (that is, dirt washed off and thrown away)? But in the same measure as he was despised by the world, he was precious to Christ, who proclaims him as his chosen vessel.145 There is no need to mention the other saints, when the Lord of glory himself says, speaking in the person of David, ‘I am a worm and no man, a reproach of men, and despised of the people.’146 Yet he who was most scorned by the world is the same at whose name every knee bows,147 in heaven, earth, and hell, and who shares equally in the glory of God the Father. Consequently, no one who leads a pious life should be dissatisfied with himself if he is scorned and hated by those who have imbibed the spirit of this world. Of course, we must strive wholeheartedly to give no cause for offence to anyone; but nonetheless, if through no fault of our own we are rejected by the world, it is very likely that we enjoy favour with Christ.

세상의 관점에서 볼 때, 자신을 씻겨서 버려진 먼지라고 부르는 바울보다 더 경멸할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그러나 그가 세상에서 멸시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는 자신을 택하신 그릇으로 선포하시는 그리스도에게는 귀중한 존재였습니다.145 영광의 주님께서 다윗의 인격으로 말씀하시며 '나는 벌레 같고 사람이 아니며 사람들에게 멸시를 받고 사람들에게 멸시받는 자'라고 말씀하실 때 다른 성도들은 언급할 필요가 없습니다.146 그러나 세상에서 가장 멸시받는 사람은 하늘과 땅과 지옥에서 모든 무릎이 그 이름에 굴복하고,147 아버지 하나님의 영광에 똑같이 참여하는 동일한 사람(예수 그리스도)입니다. 따라서 경건한 삶을 사는 사람은 세상의 영에 물든 사람들로부터 조롱과 미움을 받는다고 해서 스스로 불만을 품어서는 안 됩니다. 물론 우리는 누구에게도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 전심으로 노력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자신의 잘못이 없이 세상으로부터 거부당한다면 우리는 그리스도께 은혜를 누릴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CWE 65, 164)

'음악과 책과 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륙을 바꾼 믿음의 거장들  (3) 2024.11.23
빨간약 <소원>  (0) 2024.11.23
칼 포퍼의 경고  (0) 2024.10.05
검소와 인색의 차이  (0) 2024.07.01
내 삶의 고백 - 행복  (0) 2024.07.0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